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제주여행
- 건강
- 반려견
- agile
- PMP
- 애자일
- 야간골프
- 멕시코
- 의식의 틈
- 댕댕이
- 다이빙
- 윤미애 이사
- 경제적 성공
- 가진 게 지독함 뿐이라서
- 블랙포메
- 나이
- 기본에 충실
- 포메라니안
- 자유의지
- 데알못
- Beyond 청춘
- Project management
- 라파즈
- PMO
- 프로젝트
- PROJECT
- 프로젝트 관리
- 노화
- 리더십
- 강아지
Archives
- Today
- Total
노아가 글쎄
TOC의 체인고리(Chain Links) 개념 본문
728x90
반응형
TOC에서 흔히 사용되는 비유 중 하나가 "체인은 가장 약한 고리(weakest link)만큼 강하다"라는 개념입니다. 이는 TOC의 핵심 원리 중 하나인 제약(constraint) 개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.
1. 체인과 고리의 비유
- TOC에서는 조직이나 시스템을 하나의 체인(chain) 으로 비유합니다.
- 체인은 여러 개의 고리(links) 로 이루어져 있으며, 이 중 가장 약한 고리가 체인의 전체 강도를 결정합니다.
- 조직이나 시스템에서 이 가장 약한 고리는 제약(constraint) 이 됩니다.
2. 제약(Constraint)의 역할
- 제약(Constraint) 은 시스템의 전체 성과를 제한하는 요소입니다.
- 아무리 다른 고리(즉, 시스템의 다른 요소들)가 강하더라도, 가장 약한 고리가 부서지면 체인 전체가 끊어지는 것처럼, 조직에서도 제약이 해결되지 않으면 전체 시스템의 성과가 개선될 수 없습니다.
3. TOC의 5단계 개선 프로세스(제약 해결 프로세스)
TOC에서는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5단계 프로세스 를 제안합니다.
제약을 찾는다(Identify the Constraint).
- 시스템의 성과를 결정하는 가장 약한 고리(제약)를 식별합니다.
제약을 최대한 활용한다(Exploit the Constraint).
- 현재의 자원과 방법을 활용하여 제약의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.
- 예: 제약 공정의 낭비 제거, 가동률 증가 등
다른 모든 것을 제약에 맞춘다(Subordinate Everything Else).
- 다른 모든 프로세스를 제약의 성과를 극대화하도록 조정합니다.
- 예: 병목 공정을 중심으로 생산 계획을 변경
제약을 제거한다(Elevate the Constraint).
- 제약이 여전히 문제라면, 추가 자원 투입이나 기술 개선 등을 통해 제약을 완화하거나 제거합니다.
새로운 제약이 나타나면 반복한다(If a New Constraint Appears, Go Back to Step 1).
- 기존 제약이 해결되면 시스템 내에서 새로운 제약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, 이 과정을 반복하여 지속적인 개선을 합니다.
4. 체인고리 개념의 시사점
- 제약을 무시한 개선은 무의미하다.
- 체인의 가장 약한 고리를 강화하지 않는 한, 다른 고리를 아무리 강화해도 전체 시스템의 성과는 개선되지 않습니다.
- 조직은 전체 시스템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.
- 일부 부서나 프로세스의 성과만 높이는 것이 아니라, 전체적인 관점에서 제약을 중심으로 최적화를 해야 합니다.
- 제약 해결이 곧 시스템 개선이다.
- 제약을 해결하면 전체 시스템의 성과가 향상되며, 새로운 제약을 찾아 계속 개선할 수 있습니다.
5. 체인고리 개념이 적용되는 분야
- 제조업: 생산 라인의 병목 공정을 찾아 최적화
- 프로젝트 관리: 비효율적인 단계나 가장 느린 작업을 찾아 개선
- 물류 및 공급망 관리: 가장 약한 링크(예: 재고 부족, 운송 지연)를 해결
- 경영 전략: 조직 전체의 성과를 저해하는 주요 장애 요소를 제거
결론적으로, TOC에서의 체인고리 개념 은 조직이나 시스템의 성과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제약 이며, 이를 해결하는 것이 핵심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비유입니다.
반응형
'Project Manageme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roject Management는 무엇인가? (0) | 2025.03.09 |
---|---|
SWOT 분석 (15) | 2025.01.18 |
매트릭스 조직의 특징 및 관리자 역할 (2) | 2025.01.18 |
프로젝트 스폰서(Project Sponsor)의 역할 (0) | 2025.01.18 |
프로젝트 관리자(Project Manager)의 역할 (0) | 2025.01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