노아가 글쎄

TOC의 체인고리(Chain Links) 개념 본문

Project Management

TOC의 체인고리(Chain Links) 개념

슈퍼노아 2025. 1. 18. 15:46
728x90
반응형

TOC에서 흔히 사용되는 비유 중 하나가 "체인은 가장 약한 고리(weakest link)만큼 강하다"라는 개념입니다. 이는 TOC의 핵심 원리 중 하나인 제약(constraint) 개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.

 

1. 체인과 고리의 비유

  • TOC에서는 조직이나 시스템을 하나의 체인(chain) 으로 비유합니다.
  • 체인은 여러 개의 고리(links) 로 이루어져 있으며, 이 중 가장 약한 고리가 체인의 전체 강도를 결정합니다.
  • 조직이나 시스템에서 이 가장 약한 고리는 제약(constraint) 이 됩니다.

2. 제약(Constraint)의 역할

  • 제약(Constraint) 은 시스템의 전체 성과를 제한하는 요소입니다.
  • 아무리 다른 고리(즉, 시스템의 다른 요소들)가 강하더라도, 가장 약한 고리가 부서지면 체인 전체가 끊어지는 것처럼, 조직에서도 제약이 해결되지 않으면 전체 시스템의 성과가 개선될 수 없습니다.

3. TOC의 5단계 개선 프로세스(제약 해결 프로세스)

TOC에서는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5단계 프로세스 를 제안합니다.

 

제약을 찾는다(Identify the Constraint).

  • 시스템의 성과를 결정하는 가장 약한 고리(제약)를 식별합니다.

제약을 최대한 활용한다(Exploit the Constraint).

  • 현재의 자원과 방법을 활용하여 제약의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.
  • 예: 제약 공정의 낭비 제거, 가동률 증가 등

다른 모든 것을 제약에 맞춘다(Subordinate Everything Else).

  • 다른 모든 프로세스를 제약의 성과를 극대화하도록 조정합니다.
  • 예: 병목 공정을 중심으로 생산 계획을 변경

제약을 제거한다(Elevate the Constraint).

  • 제약이 여전히 문제라면, 추가 자원 투입이나 기술 개선 등을 통해 제약을 완화하거나 제거합니다.

새로운 제약이 나타나면 반복한다(If a New Constraint Appears, Go Back to Step 1).

  • 기존 제약이 해결되면 시스템 내에서 새로운 제약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, 이 과정을 반복하여 지속적인 개선을 합니다.

4. 체인고리 개념의 시사점

  • 제약을 무시한 개선은 무의미하다.
    • 체인의 가장 약한 고리를 강화하지 않는 한, 다른 고리를 아무리 강화해도 전체 시스템의 성과는 개선되지 않습니다.
  • 조직은 전체 시스템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.
    • 일부 부서나 프로세스의 성과만 높이는 것이 아니라, 전체적인 관점에서 제약을 중심으로 최적화를 해야 합니다.
  • 제약 해결이 곧 시스템 개선이다.
    • 제약을 해결하면 전체 시스템의 성과가 향상되며, 새로운 제약을 찾아 계속 개선할 수 있습니다.

5. 체인고리 개념이 적용되는 분야

  • 제조업: 생산 라인의 병목 공정을 찾아 최적화
  • 프로젝트 관리: 비효율적인 단계나 가장 느린 작업을 찾아 개선
  • 물류 및 공급망 관리: 가장 약한 링크(예: 재고 부족, 운송 지연)를 해결
  • 경영 전략: 조직 전체의 성과를 저해하는 주요 장애 요소를 제거

결론적으로, TOC에서의 체인고리 개념 은 조직이나 시스템의 성과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제약 이며, 이를 해결하는 것이 핵심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비유입니다.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