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제주여행
- PMO
- 건강
- 리더십
- 기본에 충실
- 데알못
- 프로젝트 관리
- 반려견
- agile
- PMP
- 프로젝트
- 라파즈
- 포메라니안
- 가진 게 지독함 뿐이라서
- 윤미애 이사
- 애자일
- 다이빙
- 멕시코
- 댕댕이
- 강아지
- 자아성찰
- 의식의 틈
- 나이
- PROJECT
- 경제적 성공
- 성찰
- 야간골프
- Project management
- 자유의지
- 노화
Archives
- Today
- Total
노아가 글쎄
성숙한 팀(Mature Team)이란? 본문
728x90
반응형
성숙한 팀이란, 구성원들이 공유된 목표와 가치를 중심으로 자율적이며 책임감 있게 협력하여 높은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는 팀을 의미합니다.
이러한 팀은 다음의 5가지 핵심 요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.
① 심리적 안전감 (Psychological Safety)
팀원들이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, 두려움 없이 자신의 의견과 생각, 우려 사항을 개방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환경입니다.
- 구글 사례
구글은 자체 연구 프로젝트인 '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(Project Aristotle)' 를 통해 팀의 성공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**'심리적 안전감'**을 발견했습니다.
구글은 이를 바탕으로 팀에서 누구나 자유롭게 의견을 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.
구글의 실제 사례
- 미팅 시 누구든지 질문하거나 의견을 말할 수 있도록 리더가 독려
- “멍청한 질문이란 없다.”는 원칙을 명확하게 공유하고 실천
② 명확한 목적과 비전 (Clear Purpose and Vision)
팀의 모든 구성원이 명확한 공동의 목표와 비전을 공유하며, 각자의 업무가 팀의 목적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분명히 이해하는 상태입니다.
- 아마존 사례
아마존은 'PR/FAQ 방식' 을 통해 팀원들이 제품의 목적과 고객 가치를 명확히 공유하고, 모든 업무가 고객중심적 목표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합니다.
아마존의 실제 사례
- 제품 개발 전 고객 입장에서의 가상 보도자료(PR) 작성
- 업무 시작 시 FAQ 문서를 통해 구성원 모두가 목적과 목표를 명확히 이해
③ 자율성과 책임감 (Autonomy and Accountability)
팀 구성원 각자가 자신의 역할에 충분한 자율성을 가지며, 동시에 맡은 업무에 대해 명확한 책임을 집니다.
- 구글 사례
구글은 '20% 프로젝트' 와 같은 방식을 활용하여 구성원들에게 업무 시간 중 일부를 스스로 선택한 창의적 프로젝트에 할애하도록 권장합니다. 이로써 구성원들은 자기 주도적으로 업무를 관리하고, 결과에 책임을 지는 문화를 형성합니다.
구글의 실제 사례
- 지메일(Gmail), 구글 맵스(Google Maps) 등은 직원들의 자율적 프로젝트에서 시작된 대표적 결과물임.
④ 건설적인 갈등 관리 및 상호 신뢰 (Constructive Conflict & Trust)
팀 내 갈등을 회피하지 않고, 오히려 이를 적극적으로 논의하며 서로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갈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활용합니다.
- 아마존 사례
아마존은 업무 논의 시 ‘이견’을 장려하며, 리더가 먼저 반론을 제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아마존에서는 이를 **'건설적 갈등(constructive conflict)'**이라고 부르며, 논쟁을 통해 가장 올바른 결정을 찾아갑니다.
아마존의 실제 사례
- 아마존은 모든 회의에서 구성원들이 팩트 기반의 적극적인 반론을 펼칠 수 있도록 독려하며, ‘동의하지 않되 헌신하라(Disagree and Commit)’는 원칙을 철저히 실천합니다.
⑤ 지속적인 학습과 피드백 (Continuous Learning & Feedback)
팀은 성장을 위해 지속적으로 배우고, 실수로부터 교훈을 얻으며, 구성원 간 상호 피드백을 일상적으로 주고받습니다.
- 구글 사례
구글은 'g2g(Googler-to-Googler)' 라는 직원 간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팀 내부에서 지식을 자발적으로 공유하고 지속적으로 배우는 문화를 구축하고 있습니다.
구글의 실제 사례
- 사내 전문가가 자발적으로 팀 내 교육을 진행하고, 서로의 피드백을 적극 교환하여 구성원 역량 향상
요약: 성숙한 팀의 5가지 핵심 요소 및 사례 비교
핵심 요소 | 구글(Google)의 사례 | 아마존(Amazon)의 사례 |
심리적 안전감 |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로 강조 | 리더가 이견 제시를 적극 장려 |
명확한 목적과 비전 | OKR(Objective Key Results) 활용 | PR/FAQ로 제품 목적과 가치 명확화 |
자율성과 책임감 | 20% 프로젝트로 구성원 자율성 강화 | 업무 자율성을 보장하는 단기 목표 관리 |
건설적인 갈등 관리와 신뢰 | 열린 소통 문화, 누구나 질문 가능 | Disagree & Commit 원칙으로 갈등 장려 |
지속적인 학습과 피드백 | g2g를 통해 내부 교육과 피드백 공유 |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데이터 기반 피드백 |
반응형
'성숙한 문화를 위한 리더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ulfillment 센터에서의 벤치마크 (2) | 2025.01.18 |
---|---|
Noah's 리더십 덕목 - 또 다른 나를 만들기 (0) | 2023.03.17 |
Noah's 리더십 덕목 4 - 씨와 날 (0) | 2023.03.05 |
Noah's 리더십 덕목 3 - 자율성 (0) | 2023.03.05 |
디테일의 함정 2 (0) | 2023.03.04 |